스킵네비게이션

학과안내 DONG SEOUL UNIVERSITY

정보통신과 소개이미지

Depart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전문분야의 최첨단 기술을 배우고 익혀이 분야에서 필요한 인력을 양성하는 학과

4차 산업혁명 변화의 중심에는 정보통신기술이 있으며, 이를 대비하기 위해 사회에서는 필요로 하는 인재를 양성
-기초소양(인문학,과학기술,IT기초 등)을 통한 올바른 인성(언어예절,대인관계 등), 발표능력과 창의성 함양
-직무역량기반 자기설계 로드맵으로 교육과정 선택 능력 강화
-교양, 전공 비교과학습의 유기적 연계로 올바른 직업관 및 미래 진로 설계
-사회 변화에 적응 가능한 실무형 인재 양성

학과 특성화 및 운영방침

01

정보통신과(2022년 이후)

4차 산업혁명 변화의 중심에는 정보통신기술이 있으며 이를 대비하기 위해 사회에서는 필요로 하는 정보통신융합분야와 네트워크보안분야의 창의적 현장중심 기술인력양성을 목표로 합니다.

  • 1산업현장과 졸업생 진로분야 수요분석에 근거한 NCS 기반 교과과정을 교수한다.
  • 2기업이 요구하는 핵심인력 양성을 위한 현장중심 교육을 강화한다.
  • 3기업에서의 성공적인 직무수행을 위한 인성 및 기업이 요구하는 직업기초능력 교수한다.
02

ICT 융합전공(2018년~2021년)

ICT융합 전공에서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요구되는 복합 문제해결 능력을 갖춘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을 다음의 내용으로 운영하는 것을 교육방침으로 한다.

  • 1산업현장과 졸업생 진로분야 수요분석에 근거한 NCS 기반 교과과정을 교수한다.
  • 2기업이 요구하는 핵심인력 양성을 위한 현장중심 교육을 강화한다.
  • 3기업에서의 성공적인 직무수행을 위한 인성 및 기업이 요구하는 직업기초능력 교수한다.
  • 4지역사회 ICT융합산업 맞춤식 교육과정에 의한 특성화 교육을 추진한다.
  • 5국내외 경진대회 참가 및 국제화 마인드 함양 프로그램을 통한 글로벌 교육을 추진한다.
03

ICT 보안전공(2018년~2021년)

네트워크통신보안전공에서는 네트워크 설치, 관리 및 정보보안 능력을 갖춘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을 다음의 내용으로 운영하는 것을 교육방침으로 한다.

  • 1산업현장과 졸업생 진로분야 수요분석에 근거한 NCS 기반 교과과정을 교수한다.
  • 2기업이 요구하는 핵심인력 양성을 위한 현장중심 교육을 강화한다.
  • 3기업에서의 성공적인 직무수행을 위한 인성 및 기업이 요구하는 직업기초 능력 교수한다.
  • 4네트워크통신보안 산업의 요구를 반영한 맞춤식 교육과정에 의한 특성화 교육을 추진한다.
  • 5국내외 경진대회 참가 및 전공관련 국제자격증 취득을 통한 글로벌 인재양성 교육을 추진한다.

연혁

  1. 2022 .03

    컴퓨터통신과 학과명 변경

  2. 2018 .03

    정보통신과 전공코스제 모집, 운영

  3. 2014 .03

    2015학년도 NCS 기반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체계 구축 추진

  4. 2010 .03

    정보통신과 신입생(주간 105명/야간 35명) 입학

  5. 2008 .03

    현장실무 중심의 교육과정 운영

  6. 2003 .03

    Cisco CCNA 2년 교육과정 운영

  7. 2002 .03

    정보통신과 신입생(주간 108명/야간 120명/정원외 28명) 입학

  8. 2001.03

    정보통신과로 학과명칭 변경

  9. 1998 .03

    전자통신과 산업체 위탁반 신입생 입학
    1999.3 ~ 2001.2 : 외부산업체(한국통신) 위탁반 2회 입학 및 졸업
    2001.3 이후 내부산업체반 운영

  10. 1990 .11

    전자통신과 입학정원 (주간 120명, 야간 120명)

  11. 1987 .03

    학과 명칭 변경 (통신과 → 전자통신과)

  12. 1980 .02

    통신과 제1회 졸업생 배출

  13. 1978. 03

    통신과 제1회 신입생 (주간 80명) 입학

졸업 후 진로

진출분야

  • 네트워크 보안 유지관리 및 운영분야, 정보보안 시스템 및 운영관리 분야, 서버보안시스템 설계 및 운영관리 분야, loT통신망 서비스 운영 및 유지관리, 정보통신융합제품 서비스 운영 및 유지관리, 정보통신기기 통합제어시스템 운영 및 유지관리, 인공지능관련분야

취득자격증

정보처리산업기사, 정보보안산업기사, 정보통신산업기사, 네트워크관리사, CCNA, CCNP, 리눅스마스터, 인공지능전문가